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8)
경우의 수 - 지하층 계단 지하 주차장이 2개층 이상 있는 곳을 만나게 되면, ​ 층간 이동을 위한 계단을 하나 이상 ​ 만들어야 한다. ​ ​ ​ 지하 2개층의 주차장이 있다. ​ 지하 2층 구간은 바닥은 기초이며, 슬래브는 지하1층 바닥이 되겠다. ​ 아마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구체 콘크리트 위 100mm 무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감면을 만드는 게 보통일 것이다. 물론, 줄눈 커팅과 페인트도 칠하겠지만, ​ 바닥이 기초인 경우에는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45~50mm 정도의 배수판이 설치 되고 설치된 배수판 위로 무근 콘크리트가 타설이 된다. ​ 말그대로 기초면 위에서 물이 돌아다니게끔 만들어주는 기능을 하는 배수판이 되겠다. ​ 지하2층 바닥 마감두께는 150mm 지하 1층 바닥 마감두께는 100mm ​ 여기에서 잘 봐야 할..
형틀 거푸집 자재-3 알폼은 재료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아파트 내부 거푸집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콘크리트의 알카리 성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철재보다 가볍고 합판보다 내구성이 좋습니다. ​ ​ 아파트 기준층 내부의 벽체 및 슬래브 거푸집 시공모습 ​ ​ 알폼 계단 시공 모습이다. 작업 속도가 일반 유로폼+합판 거푸집에 비해 빠르며, 품질 또한 우수합니다. ​ 다만, 문제점이 있다면, 거푸집 해체시의 소음 발생 부분이 가장 큰 문제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 알폼 조립시 필요한 원형핀과 납작핀 ​ ​ 일반적으로 기준층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 및 슬래브를 일체로 타설하게 되는데, ​ 층고 2850mm 정도(일반적인 아파트 층고)의 높이를 한번에 타설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 알폼의 내구성도 있겠지만, 만약..
형틀 거푸집 자재-2 갱폼은 거푸집을 대형, 단순화 하여 조립 분해가 크게 필요 없도록 만든 철제 거푸집을 말하며, 주로 아파트 외벽에 많이 쓰입니다. 작업용 발판을 일체 제작 하여 사용하는 대형 거푸집입니다. 갱폼을 사용 하는 이유는 설치와 해체 작업이 생략 되어 설치시간의 절감. 주요부재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노동력 및 공기 절감에 탁월하다. 그렇지만, 초기에 투자되는 비용이 크며, 주로 철제로 제작되는 중량물로 별도의 양중 장비가 필요하다. ​ 그리고 또 셋팅 전 현장에서 케이지 및 발판 조립을 위한 장소가 필요하다!! . . . . ​ 일반적인 갱폼 도면입니다. ​ ​ ​ 갱폼에는 여러가지 부위 명칭들이 있습니다. 갱폼의 하단부에 위치 하는 반선 구멍과 빠루 구멍입니다. ​ 반선구멍은 셋팅시에 반선으로 갱폼을 고정해야..
형틀 거푸집 자재-1 거푸집 주자재 및 부자재에 대한 얘기를 할까 한다. ​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는 주자재는 유로폼이다. ​ 유로폼의 규격은 가로(A) * 세로(B) 치수로 보았을때 ​ A (mm)= 200, 250, 300, 400, 450, 500, 600 B(mm)= 600, 900, 1200, 1500, 2400 ​ 정도로 나뉜다. ​ 유로폼 프레임에 보이는 웨지핀 구멍은 150mm 간격으로 타공이 되어 있으며, 플래타이를 채결 할 수 있는 구멍은 ​ 일반적으로 300, 600, 900mm에 되어 있다. ​ 웨지핀 간격은 = 150mm, 플래타이 간격은 = 300mm ​ 정도로 알아 두면 되겠다. ​ 벽체나 기둥의 거푸집용으로 쓰이며, 또는 보의 옆판등에 쓰이기도 한다. ​ ​ ​ ​ 그리고 합판 일반 합판으로 3*6..
먹매김과 먹도면 현장에서 먹매김 이라는 작업은 그 중요도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 아무것도 없는 버림 콘크리트만 타설이 되어 있는 바닥에 건축 구조물의 정확한 위치를 잡아 주어야 집이 바로 설 수 있다. ​ 광파기 ​ 트랜싯 ​ 먹을 놓기 위한 먹통, 다림추 등이 쓰인다. ​ 바닥 단차가 있어 한쪽엔 먹이 놓여 있고, 또 다른 부위엔 철근작업이 되어있다. ​ 이렇게 먹을 놓기 위해서는 먹도면 작업이 필수인데 ​ ​ ​ 먹도면 그리는 방법을 알아보자!! 먹도면을 만드는 방법을 순서를 정해서 나열하는게 알기 쉬울거 같다 참고로 주의할 점들도 있다. ​ 첫째로는 원본 캐드파일에서 먹매김 작업에 필요한 벽체나, 기둥, 기초선 등을 정리하는 것이다. ​ ​ https://youtu.be/uZt0NYo5ZU8 ​ ​비교적 ..
버림 콘크리트와 측량 버림 콘크리트란...? 토목 터파기가 완료가 되고, 레벨 및 GPS 등의 측량 기기로 건물이 들어설 자리가 마련이 되면, 다음 작업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여기에 쓰이는 콘크리트 명칭이 버림 콘크리트다. ​ "구조물의 밑바닥에 까는 저강도 콘크리트. 본체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보하거나, 밑면을 평탄하게 만들어 배근 작업 따위를 돕기 위하여 사용한다." 라고 정의 되어 있다. ​ 위에 정의된 내용처럼 배근 작업 따위를 돕기 위하여 사용한다... 여기에 배근 작업을 도우 려면 먹매김 작업이 선행 되어야 하겠다. ​ 먹매김이란 것은 단순하게 보면 바닥에 먹을 놓는 일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라기보다는 아무것도 없는 바닥에 건물의 기본이 되는 기둥이나 벽, 기초가 될 부분들의 위치를 잡아주는 것이라 ..
터파기와 레벨 터파기 란 건축물의 기초를 만들기 위해 지면을 파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어떻게 파느냐?? 무엇을 기준으로 파느냐?? ​ 여기에서 먼저 알아야 될 사실은 각 건설 현장 마다 기준점이라는 것이 존재 한다는 것이다. ​ 기준점이란... 공사초기 해수면에서 구한 공사 현장의 해발 높이를 표시함과 동시에 X,Y열의 좌표점(해당 높이값이 표시된 곳의 위치값)도 표기됨 ​ &기준점에 대한 정의를 찾아보다~ 여기 해당 링크는 참고 하기에 좋아 보입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25903&cid=47340&categoryId=47340 수준 원점 대한민국의 높이 기준은 인천이다. 백두산은 물론 전국 산하의 높이가 인천에서부터 시작된다는 말이다. 산의 높이를 말할 ..
도면 이해하기 1. 도면 목록보기 및 도면의 종류 ​ · 설계개요 - 건축물의 기본적인 정보가 담겨져 있습니다. 사업명, 사업위치, 규모, 용도, 구조, 조경면적 등의 내용이 있습니다. ​ &이 도면에선 이 공사의 규모와 어떤 내용들이 들어 있는지 참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간략하게 쭈욱 훑어본다는 느낌으로 보면 됩니다 ​ · 배치도 - 미리 작성된 부지의 조사도를 바탕으로 하여 건축물과 부지 도로의 위치 관계, 부지 내의 여러 시설 및 지형 등을 나타내는 그림. 건축물은 1층 평면도를 대상으로 하고, 부지나 건물이 소규모인 경우는 건축물의 평면도 또는 지붕 평면도와 겸하는 경우도 있다. ​ &배치도란 위의 설명과도 같이 1층 평면도를 대상으로 작성된 경우가 많습니다. 대지 내의 시공될 건축물의 위치와 현황(층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