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D 활용

계단참 단수에 따른 슬래브의 모양(1)

계단을 작업 하다보면,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가

계단 참부분의 슬래브를 어떻게 깔아야 될까??

... 가 아닐까 합니다.

우선 아래와 같은 계단 평면도가 있습니다.

참 부분에 반으로 나뉘어 단수 하나가 더 있습니다.

건축마감은 타일 마감으로 50mm의 마감이 있습니다.

이것을 구조 부분만 다시 그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면을 수정하였습니다.

위의 그림에 적혀 있는 것을 대략적으로 설명을 하자면,

먼저 하늘색은 계단 챌판 부분을 그려 놓은 것이고

(마감을 고려하여 50mm씩 이동 시켰습니다.)

선홍색은 합판 슬래브가 설치될 위치를 그려 놓았습니다.

(이때 합판의 두께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선홍색의 사선이 그려져 있는 부분의 "경사슬래브" 라고 적혀있는 부분은

경사로 설치해야 될 부분입니다.

그리고 노란색으로 각 부위 마다 적혀있는 레벨값인 SL+??? 값은...

아래의 단면도에서 높이 값을 치수로 확인 하여 적어 두었습니다.

(마찬가지로 합판의 두께는 고려되지 않은 순수 슬래브 레벨(SL)입니다.)

SL-150(계단 슬래브의 최초 두께)에서 시작한 레벨값이

첫번째 계단참에서 SL+1250이 됩니다.

그리고 단수가 하나 더 있어서 +1단 높이인

SL+1425의 높이 값을 가집니다.

그리도 다시!! 경사슬래브를 지나 마지막 참인 SL+2975가 됩니다!!

중간 계단참 부분의 확대 도면을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아래는 그 도면이며, 슬래브에 대한 치수가 적혀 있으며,

왼쪽에는 참부분의 횡단면도를 그려 보았습니다.

이렇게 대략적인 계단 단면도를 보았습니다.

위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계단 전개도를 그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형태의 전개도가 그려 집니다!!

이렇게 그려진 도면을 기준으로 시공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모델링이 나오게 됩니다.

이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부분입니다만

계단참 중간 부분이 이런 형태의 골조가 뽑혀 나오는 것이

가장 마음에 듭니다!! ㅡ.ㅡ/

모델링 부분을 몇가지 캡쳐 해 보았습니다.

기본 3D 뷰 입니다.

그리고 아래에서 올려다 보는 뷰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략 형틀 해체를 하였을 때 보이는 계단의 모양 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대략 이런 형태의 계단이 나옵니다!!

개인적으로 괜찮다!! 라고 생각하는 중간 계단참의 모습입니다.

LIST